뉴스다 최광묵 기자 | 전라남도는 23일 전남도 중소기업일자리경제진흥원에서 ‘2026년도 전략산업 신규시책 발굴 워크숍’을 열고 미래 먹거리 확보를 위한 전방위 시책 발굴에 나섰다.
워크숍은 산업구조 전환의 급물살 속에서 지역이 주도하는 대응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전남도와 전남테크노파크가 현장 맞춤형 신규 시책 발굴에 속도를 내기 위해 진행됐다. 새정부의 국정과제 이행과 산업정책 기조에 발맞춰 전남형 전략산업을 선제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본격 행보다.
워크숍에선 전남도 전략산업국 전 직원과 오익현 전남테크노파크 원장, 각 본부장·센터장 등 7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산업현장의 목소리와 정책 수요를 교차하며 실질적 전략 구상에 집중했다.
전남도는 새정부의 ▲첨단산업 육성 ▲기술자립형 산업구조 전환 ▲지역균형 산업벨트 구축 등 핵심 기조에 발맞춰, AI·이차전지·바이오·우주항공 등 특화 분야를 중심으로 첨단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날 워크숍에선 전남도와 전남테크노파크가 기관별 역량을 바탕으로 사전 발굴한 50여 과제를 토대로 기업진흥·주력산업·미래산업 3개 분과별 토론이 활발히 전개됐다.
각 분과는 정부 정책기조와의 연계, 센터별 전문성 기반의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과제의 타당성과 실행 전략을 심도 있게 검토했다.
주요 과제는 ▲차세대 배터리 산업 육성 기반 마련(270억 원) ▲AI 기반 인력양성·스타트업 성장지원사업(47억 원) ▲지역기술혁신허브 지정 운영(240억 원) 등이 제시됐으며, 후속 검토를 거쳐 2026년 전남도의 핵심 신규 시책으로 반영될 예정이다.
김기홍 전남도 전략산업국장은 “산업현장의 수요와 지역의 잠재력을 정책으로 연결하는 것이 전남 산업정책의 핵심”이라며 “발굴된 과제는 전남의 산업 지형을 새롭게 그려갈 출발점이다. 연내 예산 반영과 공모사업 대응으로 성과를 반드시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올해 상반기부터 국정과제 반영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가 추진 중인 주요 과제에 지역 현안이 반영되도록 수시로 중앙정부와의 전략적 소통을 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역 주도의 산업 전략을 바탕으로 국정과제와의 접점을 넓히고, 도정 현안이 실질적 국가정책으로 이어지도록 전방위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