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많음동두천 14.0℃
  • 맑음강릉 17.0℃
  • 구름조금서울 14.9℃
  • 맑음대전 15.9℃
  • 맑음대구 17.5℃
  • 맑음울산 16.5℃
  • 맑음광주 16.4℃
  • 맑음부산 18.3℃
  • 맑음고창 14.7℃
  • 구름조금제주 18.0℃
  • 맑음강화 13.6℃
  • 맑음보은 15.0℃
  • 맑음금산 15.8℃
  • 맑음강진군 16.3℃
  • 맑음경주시 17.3℃
  • 맑음거제 14.9℃
기상청 제공

포토뉴스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 사전 컨퍼런스 개최

15일 제주돌문화공원에서 예술인, 연구자, 시민 등 대상으로 진행

 

뉴스다 최광묵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제주도립미술관(관장 이종후)이 주관하는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 사전 컨퍼런스’가 오는 15일 제주돌문화공원 오백장군 갤러리 공연장에서 개최된다.

 

이번 컨퍼런스는 ‘섬의 기억과 감각 - 돌, 신화, 유배'를 주제로 제주의 자연과 생태, 역사적 사건과 신화적 이야기를 예술적 관점에서 조명한다. 이 행사는 2026년 제5회 제주비엔날레의 방향성을 함께 고민하고 의미 있는 대화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컨퍼런스는 1부에서는 주제 발표, 2부에서는 지정 질의 및 참여자 전원이 함께하는 원탁 토론이 진행된다.

 

1부 전문가 발표는 ‘돌문화’와 ‘신화’, ‘유배’ 세 분야로 나뉜다. ‘돌문화’ 분야에서는 김종일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교수가 ‘북방 유라시아의 거석 기념물과 제주도의 돌문화’에 대해 발표하며, 정광중 제주대학교 명예교수가 질의자로 참여한다.

 

‘신화’분야에서는 김순이 제주문학관 명예관장이 ‘제주 신화와 함께’에 대해 발표하며, 제주대학교 강사인 강소전 문학박사가 질의자로 참여한다.

 

‘유배’ 분야에서는 최열 미술사학자가 ‘제주의 추사’에 대해 발표하며, 양진건 제주대학교 명예교수가 질의한다.

 

2부 원탁 토론의 진행자는 홍경한 미술평론가가 맡는다. 미술비평가, 칼럼니스트, 전시기획자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홍 평론가는 제주 문화의 본질과 예술적 확장 가능성에 대한 심층 논의를 이끌 예정이다.

 

이번 컨퍼런스는 예술인, 연구자, 시민 등 대상으로 관심 있는 누구나 자유롭게 참관할 수 있다.

 

현장을 방문한 참관객들을 위해 행사 추첨권과 경품으로 커피 쿠폰이 제공되는 특별한 이벤트도 마련된다.

 

이종후 제주도립미술관 관장은 “제주비엔날레는 제주 섬의 고유한 자연과 문화, 역사적 경험을 동시대 예술 언어로 풀어내는 실험의 장”이라며 “이번 사전 컨퍼런스는 ‘돌·신화·유배’라는 제주의 근원적 키워드를 통해 섬의 기억을 새롭게 해석하고,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의 주제적 방향을 함께 모색하는 의미 있는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는 지역성과 보편성을 아우르는 새로운 예술 담론의 장으로 2026년 8월 개막한다.

 

2024 제4회 제주비엔날레가 ‘표류’를 매개로 남방 해양문명의 교차를 조명한 데 이어, 2026 제5회 제주비엔날레는 제주 문명의 또 다른 축인 북방의 길을 따라 이어진 문명의 변용과 제주와 북방문화의 필연적 연결, 융합의 과정을 예술의 언어로 살펴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