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다 최광묵 기자 | 경기 시흥시의회 의원 연구단체인 ‘시흥기업 맞춤지원 제도 연구회’가 지난 19일 의회운영위원회 회의장에서 5차 연구 활동의 일환으로 ‘시흥기업과 AI 융합을 통한 발전 방안’을 주제로 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에는 이상훈·박소영 의원을 비롯해 시흥시 관계 공무원, 유관기관·단체 관계자 등 20명이 참석해 ‘경기시흥AI혁신클러스터’ 조성 및 운영 방안과 지역 산업과의 융합 전략에 대해 폭 넓게 의견을 나눴다.
참석자들은 AI 관련 사업이 향후 지속해서 확대될 것이라는 데 공감하며, 국정과제 및 국가 정책 방향에 발맞춰 시흥시만의 AI 로드맵 설계가 시급하다는 데 뜻을 모았다.
특히 제조업 기반이 강한 시흥의 특성을 고려해, AI가 제조기업을 선도하기보다 보조하는 역할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점이 강조됐다. 또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데이터를 시 차원에서 통합 수집·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이상훈 의원은 “AI혁신클러스터가 실질적 성과를 거두려면 단순한 공간 조성이 아니라는 AI 선도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핵심”이라며 “입주 공간 조성 비용은 최소화하고, 장비 확충과 실질적인 지원사업에 예산을 집중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바이오산업이나 산업단지 내 기존 기업들과 융합할 수 있는 AI 기술을 시흥만의 색깔로 포장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라며, 부서·기관별로 분산된 AI 관련 예산을 통합 관리할 체계의 마련을 제안했다.
박소영 의원은 “AI는 적용 범위가 매우 넓은 만큼, 클러스터에 입주할 핵심 스타트업 분야를 선별할 기준과 구체적인 성공 사례 공유가 필요하다”라며, “AI의 본질은 데이터이기에 업종별 특성에 맞는 데이터 수집·활용 방안을 먼저 정립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고가의 AI 장비 도입 문제도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직접 장비를 들여오는 방식과 외부 클라우드·공용장비 활용 방안을 비교해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았다.
시 관계자는 “시흥의 산업 강점을 분석해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고, AI혁신클러스터를 지역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키워가겠다”라고 밝혔다.
‘시흥기업 맞춤지원 제도 연구회’는 앞으로도 지역 산업 특성에 맞는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과 지원 방안을 꾸준히 연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