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다 최광묵 기자 |
김민주 사단법인 기본사회 오산시 상임대표가 논평을 통해 오산시에서 사회적 경제팀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는 소식을 전해했다.

▲김민주 사단법인 기본사회 오산시 상임대표
이는 지역 사회의 협동조합과 사회적 기업들이 영리보다는 지역민과의 동반 성장을 추구하는 자치분권의 중요한 기초가 흔들리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해, 오산시는 외부에 있던 사회적 경제 지원 센터를 폐쇄하고, 그 이름을 팀 안에만 남겨두었지만, 이제는 행정체계에서조차 사회적 경제라는 이름이 지워질 위기에 놓였다.
사회적 경제는 지역 경제의 디딤돌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민주당은 오랜 시간 동안 사회적 경제 기본법의 통과를 위해 노력해왔지만, 국민의힘 계열 정당의 반대로 인해 그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은 지방정부 차원에서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실무 부서와 센터를 적극적으로 운영해왔다.
오산시 역시 민주당 시장 시절에는 사회적 경제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현재 국민의힘 시장으로 바뀌면서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이 점차 희미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지역 주민들에게 큰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시정의 우선순위는 정당의 가치관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판보다는 이해를 바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오산시를 민주당의 '시민주권 시민행복'과 '자치분권이 융성한 도시'로 변화시키겠다는 각오가 다져지고 있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목표가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진정한 의지의 표현이다.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하고, 이를 통해 지역 사회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