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지역 안전지수 3년 연속 범죄 및 생활안전 분야 지속적 취약

  • 등록 2025.04.23 18:02:12
크게보기

뉴스다 최광묵 기자 |

화성시는 행정안전부의 발표에 따르면,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 3년 연속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전곡산단 잉크공장 화재 모습(사진제공=화성시)

 

이 결과는 화성시의 안전 수준이 여전히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주며, 주민들의 체감 안전도 또한 낮은 상황임을 시사한다. 행정안전부는 매년 지방자치단체의 안전 역량을 평가하여 지역별 안전수준과 안전의식을 공표하고 있으며, 화성시는 이 평가에서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 각각 3등급의 저조한 성과를 기록했다.

 

화성시는 화재 안전성에서는 1등급을 유지하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지만,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는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였다. 특히 범죄 분야는 인근 수원시보다 나은 3등급을 기록했지만, 고양시와 용인시와 동일한 등급으로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과밀화된 신도시와 저개발 지역 간의 CCTV 설치 격차가 범죄 대응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양감 공장 화재로 인한 수질오염 처리 모습(사진제공=화성시)

 

화성시는 아동안전지킴이집 확충 등 민간 협력 체계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주민들이 느끼는 안전도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이는 범죄 예방 인프라의 불균형과 외국인 및 이주노동자 밀집 지역에서의 범죄 대응 시스템 미비가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특히, 2024년 도입한 AI 영상관제 시스템이 1만2,500여 대의 CCTV를 통합했지만, 지역별로 편중된 인프라 배분으로 인해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화성 구문천리 공장 화재(사진제공=화성시)

 

생활안전 분야에서도 3등급을 기록하며 교통사고와 화재 대비 관리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과를 보였다. 이는 공공시설물 점검 강화와 지역사회 협업 프로그램 확대의 필요성을 보여준고있다 할 것이다. 화성시는 최근 10년간 인구 증가로 인해 생활폐기물이 116,545톤 증가하는 등 쓰레기 처리 인프라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분리수거의 효율성 저하와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대기오염 문제도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화학사고 대응 체계 또한 미비한 상황이다. 2024년 화학물질 창고 화재로 인한 하천 오염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사전 차단 실패가 지적되었다. 정보 공개의 지연으로 인해 주민들의 알권리가 침해되는 논란도 발생하고 있다. 화성시 내 화학사고 빈발 지역에 대한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현장 안전 문제도 심각하다. 2022년 전국 산재사망 1위를 기록한 화성시는 2024년 아리셀 공장 화재로 23명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하는 등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가 드러났다. 일용직 이주노동자 중심의 대피 시스템과 안전교육의 부재는 노동자 보호에 큰 구멍이 되고 있다.

 

행정 시스템의 한계도 드러났다. 민관 협력 체계가 미비하여 지원의 중복과 누락이 발생하고 있으며, 범죄 예방 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주민들의 체감 안전도가 낮은 상황에서, 화성시는 범죄 예방 인프라 확충과 주민 참여형 안전 정책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안전지수 결과를 바탕으로 소방안전교부세 지원을 통해 취약 분야의 예산을 확대할 계획이다. 화성시는 범죄 예방을 위한 인프라 확충과 주민 참여형 안전 정책 도입을 통해 지역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주민들은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행정의 적극적인 지원과 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하고 있다.

최광묵 기자 xereju11@daum.net
Copyright @뉴스다 Corp. All rights reserved.

수원시 영통구 태장로 82번길 32 등록번호 :경기,아52924 | 등록일자 :2021년 6월 4일 발행인 : 최광묵 | 편집인 : 최광묵 | 전화번호 : 010-6347-3018 Copyright @뉴스다 Corp. All rights reserved.